주식공부를 시작하게 되면 보통은 PER을 가장 먼저 알게 되지만, 개인적으로 주식투자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주가 관련 수치는 PBR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BPR을 알기 위해서는 BPS도 함께 알아야겠죠? PBR과 BPS는 무엇이고 어떤 관점에서 바라봐야 하는 정보일까요? 그것에 대해서 간단히 적어보겠습니다.
PBR = Price / Book-value
PBR은 한국말로 주가순자산비율이라고 합니다. Price Book-value Ratio의 약자로 직역을 하면 주식 가격과 장부가치의 비율입니다. 그렇다면 회사의 장부가치란 무엇일까요?
장부가치란 재무상태표에서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회사의 순자산의 가치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좀 더 세부적으로 보면 자산과 부채에 가산 혹은 차감해야 하는 항목들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그런 복잡한 부분까지는 다루지 않겠습니다.)
*통상적으로 PBR을 계산할 때는 Price를 1주당 가격으로 대입하고 Book-value를 1주당 순자산가치로 대입해서 나눠주게 됩니다.
1주당 순자산가치를 말하는 BPS (Book-value Per Share)
여기서 BPS라는 말이 등장하는데요. BPS는 Book-value Per Share의 약자로 총자산가치를 총주식수로 나눈 것입니다.
다시 말해 1주당 순자산가치가 BPS인 것이죠.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주당 순자산가치 = 평가 기준일 현재 당해 법인의 순자산가액 / 평가기준일 현재 발행 주식 총수
BPS의 의미
Book-value Per Share의 의미는 기업이 활동을 중단했을 때 그 자산을 주주들에게 환원해야 하는데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1주당 배분되는 가격을 말하는 것입니다. BPS가 높을수록 수익성이 좋고 재무적으로 건전하다는 것으로 투자가치가 높다고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현재의 1주의 가치가 얼마냐에 따라서 달라지겠죠?
PBR 수치의 의미
다시 PBR로 돌아와서 위의 내용을 종합해서 정리를 하게 되면 PBR은 1주당 가격 ÷ BPS가 되는 것입니다.
1주당 주가가 1,000원이고 BPS(1주당 순자산가치)가 500원이면 PBR은 2가 됩니다. 이 의미는 현재의 주가가 회사의 순자산가치보다 2배라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죠. PBR이 높다는 것은 단순 가치로 봤을 때 주가가 비싸다는 이야기입니다. PBR이 2인 경우에 회사 법인을 청산하게 되면 주주는 투자금에 50%만 돌려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요새는 바뀌었지만, 예전에는 소위 가치투자자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이 PBR을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상당히 강했다고 합니다. 그들은 PBR이 낮은 회사를 저평가 구간에 있다고 판단합니다. PBR이 1 이하라는 것은 회사가 청산되었을 경우에도 주주들이 이익을 가져갈 수 있으니까요. 게다가 언젠가는 이슈에 의해서라도 한번 상승하는 시기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기대감에서 투자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PBR이 1 이하인 회사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하지만 무슨 이유에서인지 상당히 오랜 기간 PBR이 1 이하인 상태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PBR이 낮으면 분명 단순 가치로는 싼 주식인 것은 맞지만, 다양한 상황을 고려해야하는 투자의 관점에서 PBR이 낮다고 해서 꼭 좋은 주식이라고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투자할 때 꼭 기본으로 체크를 해주셔야 하는 필수 항목이니 투자하실 때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PBR과 BPS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봤습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한결같은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달러 환율 전망 2022년 하반기 (0) | 2022.07.07 |
---|---|
원유 가격 상승 VS 하락 유가의 방향을 체크해봅니다. (0) | 2022.07.04 |
2022년 6월 20일 주식공부 - 글로벌시장상황 (0) | 2022.06.20 |
주가수익비율 PER에 대한 공부, 그리고 PER의 오류 (0) | 2022.06.15 |
2022년 6월 10일 주식시황 (0) | 2022.06.10 |
댓글